1. 책소개
미국 세기의 화려한 막이 오른 1945년 태어난 앨프리드 맥코이는 예일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준비하던 중 우연히 베트남전쟁에 파병된 미군 병사들 사이의 헤로인 중독 문제를 연구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부 병사들의 일탈 행위로 알려졌던 약물 중독이 CIA를 주축으로 하는 미국 정부와 동남아시아 군벌, 게릴라 조직 등이 겹겹이 얽힌 거대한 사업의 한 부분이었고, 또한 이것이 21세기에 이르기까지 미국이 전 세계에서 벌이는 비밀공작의 기원을 형성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로써 시작된 맥코이의 연구는 지난 40여 년간 동남아시아의 베트남과 필리핀, 북중미의 쿠바, 중동의 이라크와 중앙아시아의 아프가니스탄에 이르기까지 세계 곳곳에서 ‘미국제국’을 추적했다. 그렇게 닿은 패권의 민낯은 미국이 한 수 한 수 전략적 선택을 거듭할 때마다 세계 곳곳에서 광기 어린 독재자가, 소총을 든 게릴라 소년이, 그리고 분홍색 양귀비꽃이 피어오르는 장면일 뿐이다.
맥코이는 『대전환: 2030 미국 몰락 시나리오』에서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뒤인 2030년이면 팍스 아메리카나의 시대가 끝날 것이라는 징표들을 좇으며, 1890년대의 미국스페인전쟁부터 양차 세계대전과 냉전 시대를 거쳐 21세기 사이버·우주전쟁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미국제국이 걸어온 한 세기를 돌아본다. 그리고 인류 역사상 모든 제국이 그러했던 것처럼 미국제국 또한 걷게 될 몰락의 시나리오를 보여준다. 마침내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이 첩보기관의 비밀작전, 해외 군사기지 건설, 토착 엘리트 및 마약 카르텔과의 유착, 심문과 고문, 최첨단 장비를 동원한 감시와 사찰 등 그 어떤 수단과 방법으로도 더 이상 패권을 유지할 수 없게 될 가까운 미래에, 우리는 귀를 기울여야 한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Alfred McCoy
위스콘신대학 매디슨캠퍼스 역사학 석좌교수. 그는 1977년 예일대학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현대 필리핀의 등장’, ‘비밀작전의 지하세계’, ‘현대 제국의 역사’ 등 세 가지 주요 주제를 연구했다.
그의 첫 번째 책인 『동남아시아 헤로인의 정치학The Politics of Heroin in Southeast Asia』(1972)은 CIA의 출판 금지 시도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오늘날 전 세계 마약 밀매 연구의 고전으로 간주되는 이 책은 50년 가까이 계속 출간되고 있으며, 아홉 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의 또 다른 주저인 『고문의 문제: CIA 심문, 냉전 시대부터 테러와의 전쟁까지A Question of Torture: CIA Interrogation, from the Cold War to the War on Terror』(2006)는 2008년 오스카상 다큐멘터리 부문을 수상한 영화 〈택시 투 더 다크 사이드 Taxi to the Dark Side〉의 기초가 되었다.
『미국제국의 치안 제도: 미국, 필리핀, 그리고 감시국가의 부상Policing America’s Empire: The United States, the Philippines, and the Rise of the Surveillance State』(2009)은 미국 안보기구의 기초가 된 필리핀 경찰 조직, 사찰, 그리고 스캔들을 밝힌 공로로 아시아연구협회의 조지 카힌상을 수상했다. 2012년 예일대학은 “세계적 동남아시아사 연구자로서 필리핀 정치사와 골든트라이앵글의 아편 밀매를 연구하고, 지하세계 범죄에 연루된 현대 정치를 감시해온 역할”을 기려 그에게 윌버 크로스 메달을 수여했다.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서문 | 미국의 힘과 나의 삶 7
1부 미국제국의 이해
1장 세계섬과 미국의 부상 45
지정학의 창시자 핼퍼드 매킨더 47
브리타니아, 바다를 지배하다 51
미국의 지정학 전략 56
미국제국에 관한 수십 년간의 논의 63
열대섬 제국 73
세계 패권국으로 부상 79
미국의 세기 유지 전략 88
2장 우리 편 개자식들: 미국과 독재자 95
군사 독재와 손잡다 97
사이공의 우리 편과 ‘카불시장’ 101
중동 위기 110
후퇴의 전조 117
3장 비밀공작의 지하세계 121
지하세계의 성장 125
중앙아메리카 개입 129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을 이긴 분홍꽃 136
테러와의 전쟁: 2001~08년 143
아프가니스탄 개입: 2009~16년 148
전쟁의 교훈 154
2부 미국의 생존 전략
4장 글로벌 감시국가 159
제1차 정보혁명 161
식민지 실험실 164
부메랑 효과 168
전산화된 정보관리 체제 173
오바마 행정부의 사찰 178
정보와 미국 지배의 미래 189
5장 고문과 제국 195
심리적 고문의 역사 197
면죄부 208
선례들 221
6장 총검과 전함의 시대를 넘어: 펜타곤의 비밀병기 229
시련 233
테러와의 전쟁 244
트리플 캐노피 262
로봇 정보관리 체제 271
3부 미국 쇠퇴의 역학
7장 그레이트 게임 279
오바마의 대전략 292
지정학의 대가들 301
엘리후 루트: 미국 패권의 설계자 303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제국의 파괴자 307
버락 오바마: 글로벌 헤게모니의 수호자 309
비전의 한계 313
8장 미국 세기의 종말 시나리오 326
세계질서: 현 상황 331
변화하는 세계질서: 2030년 시나리오 334
경제 하락: 현 상황 338
경제 하락: 2030년 시나리오 343
군사적 재난: 현 상황 346
군사적 재난: 2020년 시나리오 347
3차 세계대전: 현 상황 350
3차 세계대전: 2030년 시나리오 352
기후변화: 현 상황 358
기후변화: 2040년의 시나리오 364
변화하는 세계 365
감사의 말 369
주 372
출처 : 본문 중에서
4. 책속으로
1장. 세계섬과 미국의 부상
광대한 유라시아를 좌우에서 공략하는 전략에 따라 … 일본에서 오키나와를 거쳐 필리핀까지 3,000킬로미터에 걸친 군사기지를 확보한 워싱턴은 태평양 연안을 북미 대륙을 방어하고 유라시아 대륙을 통제하는 지정학적 거점으로 삼았다. … 그다음으로 미국의 외교관들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1949년), 중동조약기구(METO, 1955년), 동남아시아조약기구(SEATO, 1954년)를 결성하여 대륙 포위망을 한 겹 더했다. 이 가운데 북대서양조약기구는 28개국이 가입한 기구로 성장하여 유럽 안 미군기지를 지탱하는 가장 든든한 동맹으로 자리 잡았다. … 미국이 주도하는 강력한 다자 협정이 부재한 아시아에서 워싱턴의 입지는 태평양 연안국과 맺은 4개의 양자 협정, 즉 호주 및 뉴질랜드와의 태평양안전보장조약(앤저스ANZUS 조약, 1951년), 필리핀상호방위조약(1951년), 미일안전보장조약(1951년), 그리고 한미상호방위조약(1953년)에 달려 있었다. …
2003년 미국이 다시 이라크를 침공했을 때, 역사가 폴 케네디는 매킨더의 100년 전 논문을 다시 꺼내어 이 군사적 재난을 설명했다. “현재 유라시아 주변 지역에 배치된 수십만 명의 미군 병력으로 볼 때 워싱턴은 ‘역사의 지리적 추축’을 통제하라는 매킨더의 경고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로부터 채 10년도 지나지 않아 이라크전쟁은 대담한 지정학적 전략이 아니라 소련의 심장 지역을 공격하기로 한 독일의 파멸적 결정에 더 가까워 보였다. 이후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역으로 확산된 미군기지는 마치 영국제국이 북서변경주에 주둔지를 건설했듯이 유라시아 심장 지역의 가장자리에 거점을 마련하려는 미국의 제국주의적 시도를 가시적으로 보여주었다._57~61쪽
2장. 우리 편 개자식들: 미국과 독재자
미국은 민주주의 원칙을 보류하고 신뢰할 수 있는 우리 편 지도자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지원하면서, 많은 경우 자국보다 워싱턴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지도자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그리고 이것을 미국의 지배력을 키우고 세계의 향방을 좌우하는 지렛대로 삼았다. … 워싱턴은 전 세계에 막대한 군사 원조를 지원하면서 미국 고문과 각국 장교 사이에 끈끈한 유대를 형성했다. 종속국 지배층이 충분히 ‘종속적’이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 미국 고문단은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할 만한 인물을 새로 점찍었다. 민정 대통령이 반기를 들면 CIA는 믿을 만한 군인에게 쿠데타를 사주하기도 했다. _98쪽
응오딘지엠(베트남)과 카르자이(아프가니스탄)의 사례에서 보듯 그때나 지금이나 워싱턴과 제3세계 독재자 사이의 동맹에는 자멸의 패턴이 내재되어 있다. 워싱턴과 자국민의 요구 사이에서 갈등하던 지도자들은 결국 어느 한쪽도 만족시키지 못했다. … 애초에 워싱턴은 고분고분 말을 잘 들을 인물을 종속국 지도자로 선택한다. 종속국 지도자는 정권을 획득하고 유지하는 데 강대국의 후원이 필수적이기에 워싱턴과 손을 잡는다. 정권을 잡은 종속국 지도자는 보잘것없는 정치자본을 총동원하여 워싱턴의 요구를 최우선시할 수밖에 없다. 정권이 미국의 눈치만 보다 대중의 지지를 확보하지 못한 결과, 응오딘지엠은 사이공 대통령궁에 고립되었고 카르자이는 카불에 갇혔다. 두 사람이 강력한 종주국의 요구와 국민의 요구 사이에서 진퇴양난에 빠진 사이 게릴라 세력이 베트남과 아프가니스탄의 시골 지역을 장악했다. _117~118쪽
출처 : 본문 중에서
5. 출판사서평
“승부는 이미 결정되었다.”
역사상 가장 강력한 제국의 종말
2010년 진보 언론 매체인 〈톰 디스패치〉에 미국의 충격적 몰락을 예상하는 칼럼 한 편이 공개되었다. 미국 유수의 정치가와 평론가들이 확신에 찬 목소리로 ‘현상 유지’ 또는 ‘천천한 연착륙’을 이야기할 때, 칼럼은 “승부는 이미 결정되었다”며 미국의 완전한 몰락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칼럼을 쓴 주인공은 위스콘신대학 매디슨캠퍼스의 역사학 석좌교수 앨프리드 맥코이.
1945년 미국이 ‘승리’를 선언하며 세계의 가장 선두에 선 해에 태어난 그는 이후 미국이 패권을 지키고 확장하기 위해 벌인 숱한 전쟁과 공작을 연구하며 이 악랄한 ‘현대 제국’의 역사를 파헤쳤다. 산더미처럼 쌓인 정보기관의 기밀문서와 의회위원회 자료 속에서, 또한 수년에 걸친 현지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그가 확인한 미국은 자유와 정의의 파수꾼이 아니라 ‘제국’ 그 자체였다. CIA의 비밀공작과 첨단 과학기술의 군사화를 통해 무소불위의 힘을 휘두르는 미국은 세계의 경찰인 체했으나 무도했고, 세계의 은행인 체했으나 횡포했으며, 세계의 재판관인 체했으나 불의했다. 그 결과 오늘날 미국은 세계의 질서와 경제 변화를 중재하고, 군사적 대치와 3차 세계대전 가능성을 막고, 기후변화에 대처할 힘을 상실했다. 『대전환: 2030 미국 몰락 시나리오』(원제: In the Shadows of the American Century)는 미국제국이 걸어온 역사를, 그리고 고집과 오판을 거듭하며 기어이 몰락을 향해 걸어갈 미래를 추적한다.
제국은 매우 섬세한 힘의 생태계를 바탕으로 하기에 어떤 문제가 임계점을 넘는 순간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무너진다. 포르투갈은 1년, 소련은 2년, 프랑스는 8년, 오스만제국은 11년, 영국은 17년 만에 완전히 해체되었으며, 미국은 십중팔구 2003년을 기점으로 27년 후 같은 운명을 맞이할 것이다. 미래의 역사학자들은 2003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이라크 침략을 미국 몰락의 시작점으로 지목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도시가 불타고 시민이 학살당하는 참극 속에서 몰락했던 과거의 제국들과 달리 21세기 제국의 붕괴는 경기 위축이나 사이버 전쟁 같은 보이지 않는 촉수에 의해 상대적으로 조용히 진행될 것이다. _327쪽
끝없는 전쟁의 세기: 미국 세기의 다른 이름
1904년 1월 런던정치경제대학 학장인 핼퍼드 매킨더가 「역사의 지리적 추축The Geographical Pivot of History」이라는 대담한 논문을 발표했다. 핵심은 세계 패권의 미래는 해상 운송로 통제가 아니라, 광대한 ‘유로아시아Euro-Asia(유라시아)’를 통제하는 데 달려 있다는 것. 그는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유라시아) 심장 지역을 지배하는 자가 세계섬을 지배하고, 세계섬을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
미국은 20세기 내내 매킨더의 전략을 가장 잘 수행한 국가였다. 1898년 미국스페인전쟁에서 승리한 미국은 고립주의를 고수하던 나라에서 태평양의 하와이와 괌, 필리핀 등과 대서양의 푸에르토리코 같은 섬들을 점령하며 식민제국으로 급속히 변화했다. 미국은 앞선 제국들처럼 식민지를 직접 지배하지 않고 현지 엘리트층을 포섭한 뒤 그들에게 통치를 위탁했다. 대신 미국은 ‘자문위원’이나 ‘고문’ 등으로 불린 민간 전문가를 식민지로 보내 치안, 공중보건, 국방 등 각 분야의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의 목표는 거대해진, 그리고 앞으로 더욱 거대해질 자신의 제국을 효과적으로 통치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를 거치며 소규모 방위군에 불과했던 미군은 강력한 연방군대로 바뀌었고, 태평양과 대서양을 따라 전 세계에 펼쳐진 식민섬에 미군의 군사기지가 설치되었다. 또한 미국은 필리핀에서 자신들의 정보 기술과 스페인의 치안 유지 방식을 결합하여 막강한 힘을 가진 필리핀경찰군을 창설해 반란과 저항 세력을 질식시킨 광범위한 감시와 사찰을 벌였다.
‘식민지 엘리트를 통한 대리 통치’, ‘강력한 군대와 해외 군사기지’, ‘안보기구의 감시·사찰’은 향후 100년간 미국의 세기를 지탱한 기둥이자 미국 패권의 칼날이 되어 전 세계를 휩쓸었다. 미국은 이 칼날로써 유라시아 양단을 포위하는 데 성공했고 첫 번째 세계대전을 거치며 성장했으며, 두 번째 세계대전이 끝났을 때 마침내 세계제국 영국의 자리를 대체했다. 이후 시작된 냉전은 미국이 세계 유일의 패권국가로 우뚝 서는 무대였다. 그러나 동시에 미국은 한국과 베트남에서 벌인 전쟁, 페르시아에서 벌인 두 차례의 전쟁, 그리고 여전히 끝이 보이지 않는 아프가니스탄전쟁에 이르기까지, 승리 없는 전쟁을 반복하며 스스로 패권을 갉아먹었다.
8장. 미국 세기의 종말 시나리오
미래가 지금까지 살펴본 시나리오만큼 극적으로 전개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모든 트렌드는 2030년경 미국 패권의 몰락을 시사한다. 고문과 사찰 폭로로 워싱턴의 도덕적 권위가 땅에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충성스러운 종속국 지배층, 치명적인 비공개 작전, 기술 혁신, 그리고 유라시아에 대한 지정학적 우위를 잃어가고 있다. 전 세계 우방국이 중국이라는 신흥 강국의 등장에 적응해나가는 가운데 미국이 800개가 넘는 해외 군사기지를 유지하는 것은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불가능해질 것이고, 머지않아 워싱턴은 단계적 철수를 시작하지 않을 수 없다. 미국과 중국이 우주와 사이버 공간에서 경쟁에 돌입하면서 양국의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을 감안하면, 2030년의 군사 갈등은 충분히 현실적인 시나리오다. 만약 최악의 사태가 벌어져 미국이 가파른 하향곡선을 그리며 추락한다면 미국인들은 한 세대 혹은 그 이상의 경제적 궁핍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그나마 남은 시간조차도 낭비될 공산이 크다. 2016년 대선 이후 미국 지도부는 자신들의 대외 정책이 지난 70년간 미국의 패권을 지탱해온 섬세한 균형을 손상시키고, 심지어 해체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채 4년 내지 8년간 편협한 내부 지향적 시각을 고수할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초기에 미국 국무부의 한 중견급 관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영국 외무부 관리가 아마 이런 기분이었을 겁니다. ‘믿을 수 없다!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의 해가 지다니.’ … 미국은 끝났습니다. 내가 이런 말도 안 되는 상황의 일부라는 사실이 괴롭습니다.” _365~366쪽
출처 : 사계절
'2019년 추천 도서(19.3~2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의 추천도서(2479) 무엇이 예술인가 (0) | 2019.12.14 |
---|---|
12월의 추천도서(2478) 엘리트가 버린 사람들 (0) | 2019.12.13 |
12월의 추천도서(2476) 사랑의 예술사 (0) | 2019.12.11 |
12월의 추천도서(2475) 메트로폴리스의 소리들 (0) | 2019.12.10 |
12월의 추천도서(2474) 무기화된 거짓말 (0) | 201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