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9월의 추천도서(210) 꿈의 해석 - 지크문트 프로이트

 


 

 

책 소개

 

정신분석의 창시자 프로이트가 1897년 후반부터 쓰기 시작해 그해 11월에 완성한 책.
프로이트 작품 가운데 가장 중요한 책이며, 무의식의 존재를 드러냄으로써 우리의 정신생활의 또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논리적인 구성, 명료한 개념 설명, 명쾌하고 분명한 언어 표현 등의 형식적인 면에서도 인류사 불후의 명작으로 꼽힌다.
자신의 내면 생활을 알고 싶은 사람에게 '꿈의 해석'은 자신의 억제된 소원 충동으로 가는 안내자요, 무의식의 문을 두드리는 열쇠가 될 것이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지그문트 프로이트

1856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소도시 프라이베르크에서 출생했다. 네 살 때 가족과 함께 빈으로 이주한 프로이트는 빈 대학 의학부에 진학하여 브뤼케 교수가 이끄는 생리학 연구실에 들어가 6년 동안 중추신경계의 해부 등에 관해 연구한 후, 파리의 살페트리에르 병원에서 샤르코의 지도 아래 히스테리 환자를 관찰하였다. 이후 브로이어와의 만남은 프로이트의 인생에 전환점을 가져왔다. 브로이어는 프로이트에 앞서 히스테리 환자에게 최면술을 걸어 심적 외상을 상기시키면 히스테리가 치유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프로이트는 브로이와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카타르시스 요법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프로이트는 이 치료법의 결함을 깨닫고 최면술 대신 자유 연상법을 이용한 치료법을 발전시키고, 여기에 <정신분석>이라는 명칭을 부여했다.
프로이트는 꿈, 농담, 실수 행위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무의식>의 존재를 일반에게 각인시키고, 인간의 성적 본능의 발전 과정을 추적하면서 유아 성욕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주장하여 사회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계속해서 정신분석학을 이론적으로 구성하고 정신 의학의 영역을 넘어서서 정신분석의 방법을 종교, 사회, 문명, 예술 등의 영역에 응용하는 데 힘썼다. 1938년 오스트리아를 침공한 히틀러를 피해 런던으로 이주한 프로이트는 1939년 그곳에서 사망하였다. 성 충동과 공격 본능 그리고 이에 대한 방어 기제가 서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는 무의식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그 핵심으로 하고 있는 프로이트의 이론은 인간의 심리 발달 과정과 비정상적인 정신 상태의 이해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심리학, 철학, 사회학, 문예학, 교육학, 신학 등 많은 학문 영역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인식의 도구로 환영받았다.

<프로이트의 세기>라고 불릴 만큼 20세기의 역사와 삶에 무의식의 발견이 끼친 영향은 대단했다. 그것은 단순히 사물에 대한 인식만을 변화시킨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갈등하면서 자연과 문명에 적응해 나가려고 애쓰는 인간 정신의 심연을 드러내어 인간의 자기 이해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인터파크 도서 제공]

 

 

 

목차

 

서문
첫번째 장꿈 문제에 관한 학문적 문헌
꿈과 깨어 있는 상태의 관계
꿈-재료―꿈속의 기억
꿈-자극과 꿈-출처
왜 꿈에서 깨어난 후 꿈을 망각하는가?
꿈의 심리학적 특수성
꿈의 윤리적 감정
꿈-이론과 꿈의 기능/ 꿈과 정신질환의 관계
두 번째 장꿈-해석 방법 : 꿈 사례 분석
세 번째 장꿈은 소원 성취이다
네 번째 장꿈-왜곡
다섯 번째 장꿈-재료와 꿈-출처
여섯 번째 장꿈-작업
압축 작업
전위 작업
꿈의 묘사 수단
묘사 가능성 고려
꿈에서 상징에 의한 묘사
그 밖의 전형적인 꿈
사례들―꿈에 나타나는 계산과 대화
부조리한 꿈―꿈속의 지적 활동
꿈속의 정서
이차 가공
일곱 번째 장꿈-과정의 심리학
꿈-망각
퇴행
소원 성취에 대하여
꿈에 의한 각성―꿈의 기능―불안­꿈
일차 과정과 이차 과정―억압
무의식과 의식―현실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