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추천도서(25.3~) 썸네일형 리스트형 3월의 추천도서 (4390) 바오로 6세의 복음 1. 책소개 『바오로 6세의 복음』는 교황 바오로 6세의 강론을 모은 책. 바오로 6세 교황이 재임 중 행한 24개의 복음 강론을 모아놓은 것으로, 독자들에게 바오로 6세 교황의 복음적 육성을 직접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교황 바오로 6세 저자 바오로 6세 교황은 1897년 이탈리아 북부 브레시아 지역의 소도시 콘체시오에서 태어났다. 1920년 사제품을 받고, 로마 그레고리안 대학에서 민법과 교회법을, 로마 대학에서 문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이후 교황청 외교관학교에서 수학하고, 국무성에서 일했으며, 이탈리아 가톨릭대학교연합(FUCI)에서 영적 지도를 했다. 1937년 국무성 대리로 임명되어, 1939년에 교황으로 선출된 국무성 장관 에우제니오 파..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 (4389) 무지개 눈 1. 책소개 시각장애인이 말하고 김숨이 쓴 다섯 편의 연작소설시각 중심의 관점으로는 결코 닿지 못했던 또 다른 세계 김숨 작가의 신작 소설 『무지개 눈』이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무지개 눈』은 다섯 명의 시각장애인과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쓴 단편소설을 엮은 연작소설집이다.김숨은 한국문학의 ‘오늘’을 만들어 왔고, 또 여전히 만들어 가고 있는 독보적인 작가이다. 1997년 등단한 이후 28년간 스무 권 이상의 소설집과 장편소설을 발표하며 쉼 없이 소설을 써 온 김숨 작가는 그 문학적 성과를 꾸준히 인정받아 2010년 이후로 현대문학상, 대산문학상,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등 한국의 주요 문학상을 모두 석권했다.김숨은 역사적 사건에 연루된 실제 인물들의 삶과 내면을 소설로 기록하고 증언하는 데 오랫동안..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 (4388) 싯다르타 1. 책소개 1922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세상의 근원을 탐구하며 ‘참 나’를 찾아가는 길독일의 대문호 헤르만 헤세의 영혼이 투영된 자전 소설 20세기 독일 문학가들 가운데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작가를 꼽으라고 한다면 단연 헤르만 헤세일 것이다. 내면의 탐구자이자 자아 성찰의 대표 작가인 헤르만 헤세는 휴머니즘을 지향하며, 고뇌하는 청춘과 자연에 대한 동경, 인간의 양면성 등을 작품에 담았다. 도서출판 더스토리는 헤르만 헤세 탄생 140주년을 기념하여 헤르만 헤세의 대표작인 《싯다르타》를 초호화 패브릭 양장으로 제작하였다. 패브릭 특유의 고급스러운 색감과 감촉뿐만 아니라 1919년 출판된 독일 피셔 출판사의 초판본 표지디자인을 그대로 되살려 소장 가치를 한층 높였다. 또한 실로 꿰맨 ..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 (4387) 이코노미스트 2025 세계대전망 1. 책소개 이코노미스트 《2025 세계대전망》 한국어판 독점전 세계 25여 개 언어로 동시 출간2025년을 예측하고 준비하는 가장 확실한 대안이자 해법 한국경제신문에서 해마다 출간되어온 글로벌 전망서 이코노미스트의 ‘The World Ahead’ 시리즈가 올해도 변함없이 《2025 세계대전망》으로 출간된다. 세계 각국의 정치와 경제, 비즈니스, 금융, 과학, 문화 등을 심층 진단하여 미래 예측과 트렌드 분석에 있어 최고의 글로벌 전망서로 손꼽히는 이 책은 전 세계 25개 언어로 해마다 연말에 전 세계에 동시 출간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해마다 예측 불가능한 상황의 연속에서 세계 패러다임 예측에 있어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이코노미스트〉가 2025년에 대한 심도 깊은 전망을 내놓는다. 세계의 주요 .. 더보기 3월의 추천도서 (4386) 안목 1. 책소개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지식 중심의 문화유산 관점에서‘사유할수록 깊어지고 넓어지는’ 통찰과 안목 관점으로 문화유산은 치유와 힐링의 원천현대를 살아가면서 과거의 유산을 왜 보존하고 관리하는 것일까? 그것은 유용성과 혜택을 주기 때문일 것이다. 유네스코는 ‘유산은 우리 삶과 영감의 대체할 수 없는 원천이며, 휴머니즘, 혁신, (재난과 질병으로부터 일상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회복력(Resiliency)의 원천’이라고 했다.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문화유산이 치유와 힐링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지식 중심의 관점에서 통찰과 안목 관점으로저자는 문화유산에 대한 교감과 공감을 통해 치유와 힐링을 얻을 수 있다고 역설한다. 그럼, 힐링의 수준까지 가려면 어떻게 하여야 할까? 저자는 그 방.. 더보기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