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6월의 추천도서 (4493) 내면일기 1. 책소개 사랑, 애도와 위기, 고독, 자기성찰, 여행소설가, 화가, 철학자 등 87인의 내밀한 글쓰기“일기는 독특한 증언이자 매번 사라져 버린 의식에 대한 탐구다” 감정과 사색을 담아내며 문학적 가치를 획득하는 일기일기란 “날마다 그날그날 겪은 일이나 생각, 느낌 따위를 적는 개인의 기록”이다. 수많은 개인이 저마다의 일상을 적어 내려가고 저마다의 역사를 기록해 나간다. 일기는 필연적으로 개인의 기록물이기에 타인과 공유되거나 공공의 성격을 띠지 않는다. 하지만 유명인일 경우 얘기가 다르다. 그들의 기록은 대중의 관심을 끌고 어떤 경우에는 일기 그 자체가 한 시대의 역사를 증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안네의 일기』가 대표적이다.“일기 속의 나는 세상의 나보다 더 진실하다”(프란츠 카프카), “일..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492) 행복해질 권리 1. 책소개 “무엇을 소유해도 당신은 결코 행복해질 수 없다.”소비사회가 만든 불만족과 무력감의 늪에서 벗어나인생이라는 예술을 가꾸라는 바우만의 지혜로운 해법! 20세기 최고의 지성이자, 근대 이후의 사회를 ‘액체 현대’로 규명하며 세계적 명성을 얻은 지그문트 바우만의 미출간 역작이 21세기북스에서 출간되었다.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출간된 이 책에서 바우만은, 단지 물질적 상품만이 아니라 사랑, 정의, 희망 같은 추상적 가치마저 상품화된 현대 소비사회를 날카롭게 비판한다. 현대 사회는 끊임없이 개인의 욕망을 자극하고, 소비를 통해서만 행복에 도달할 수 있다는 착각을 조장한다. 그러나 아무리 많은 것을 소비하더라도 욕망은 결코 완전히 충족될 수 없다. 그러므로 소비사회는 우리에게 불확실성과 불..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491) 세상을 보는 눈, 융합 지성사 1. 책소개 테네 신전에서 뇌과학 연구소까지, 소크라테스에서 마르크스까지인간 정신이 이루어낸 지성의 연대기 대중의 ‘과학하기’와 ‘과학 이해하기’가 하나의 문화가 되는 사회를 지향하는 유미과학재단의 송만호 이사장과 《과학오디세이: 유니버스&라이프》의 저자 안중호 교수,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홍기빈 소장, 서울대학교 철학과 이은수 교수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을 아우르는 학문 간 융합을 통해 인류 사상의 역사를 탐험한다.21세기를 살아가는 현재 전 세계는 하나의 지구적 문명으로 통일되어 있다. 역사와 언어, 문화를 막론하고 세계 거의 모든 나라가 정치적 민주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를 표준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명백히 서구 문명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서구 문명이 어떻게 등장하고 ..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490) 나는 곧 세계 1. 책소개 세계적 신경과학자가 펼쳐 보이는사이코노트의 여정, 의식의 경이로운 지도 미국의 앨런뇌과학연구소의 조사관으로서 신경세포 모델링 연구를 주도하는 세계적 신경과학자 크리스토프 코흐의 신간이 『나는 곧 세계: 의식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필로스 시리즈 37번)로 출간되었다.크리스토프 코흐는 의식 과학사의 굵직한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해 온 중요 인물이다. 1990년대부터 프랜시스 크릭과 함께 의식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하며 ‘의식의 신경상관물(NCC)’을 발견했고, 이는 의식 과학 연구의 패러다임을 뒤흔들었던 혁신적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2023년 코흐는 『생명 그 자체의 감각』(필로스 시리즈 26번)에서 집대성해 선보인 통합정보이론(IIT)으로 ‘사이비 과학(pseudo-science.. 더보기 6월의 추천도서 (4488) 정조가 묻고 다산이 답하다 1. 책소개 “태평성대는 저절로 찾아오지 않는다!”혼란에 빠진 나라를 바로 세우기 위한개혁군주 정조와 실학자 다산의 정책 문답두 천재는 어떻게 자신의 의견을 펼치며국가의 비전을 만들어 갔을까? 유교적 이상과 개혁 정신을 실현하고자 했던 정조, 이를 현실 정책으로 구체화했던 실학자 다산 정약용. 두 인물이 국가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며 주고받은 대화를 쉽게 풀어낸 『정조가 묻고 다산이 답하다』가 판미동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개혁군주 정조와 실학자 다산의 정책 문답인 ‘책문(策問)’과 ‘대책(對策)’을 인사·경제·국방·교육·문화 등 주요 분야별로 정리한 것이다. 인문 고전의 대중화를 이끌어 온 신창호 교수가 원문의 형식을 살리면서도, 오늘날 독자들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충실한 해설을 덧붙였다.정..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9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