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년 추천도서(24.3~/2025-01

1월의 추천도서 (4347) 김지하를 다시 본다

 

 

 

1. 책소개

 

『김지하를 다시 본다』는 2023년 5월 6일~7일 김지하 추모 1주기에 열린 《김지하 추모 학술 심포지엄》 토론 자료를 정리하고, 다시 꼭 읽어야 할 김지하의 글을 모아 만든 1056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책이다.

1부에는 염무웅, 이부영, 유홍준, 임진택, 임동확, 김사인, 홍용희, 정지창, 채희완, 심광현 등 30여명이 「김지하의 문학・예술과 생명사상」이라는 큰 주제아래 〈김지하의 문학 예술과 미학〉 〈김지하의 그림과 글씨〉 〈민주화 운동과 김지하〉 〈김지하의 생명사상과 생명운동〉으로 나누어 주제 발표와 토론을 한 후 정리한 내용과 종합토론을 한 내용을 단행본에 맞게 정리해 놓았다.

2부에는 「김지하가 남긴 글과 생각-생명의 길・개벽의 꿈」이라는 제목으로 김지하가 남긴 수많은 글 중에서 꼭 다시 읽어봐야 할 글을 골라 실었다.
암울한 시대에 수많은 젊은이를 위로하고 힘주었던 글 「양심선언」, 「나는 무죄이다」, 로터스상 수상 연설인 「창조적 통일을 위하여」, 환경오염과 기후 위기 등 현시대의 문제점들을 수십 년 앞서서 말하고 방법을 제시한 「생명의 세계관 확립과 협동적 생존의 확장」, 「개벽과 생명운동」, 김지하가 자신의 문학에 대해 쓴 「깊이 잠든 이끼의 샘」,
김지하가 남긴 생명사상을 살필 수 있는 「생명평화선언」, 「화엄개벽의 모심」 등 진지하게 김지하를 다시 보고 다시 만났으면 좋겠다.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염무웅

 

1941년 11월 27일 강원도 속초에서 출생하여 서울대 독문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6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창작과비평사 대표, 민족예술인총연합 이사장,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을 역임했고 현재 영남대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국문학의 반성', '민중시대의 문학', '혼돈의 시대에 구상하는 문학의 논리', '모래 위의 시간' 등이 있고, 편역서로 '문학과 예술의 사회가', '한국문학의 현단계 1~4권' 등이 있다.

 

 

 

저자: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

 

 

 

저자: 유홍준

 

1949년 서울 서촌에서 태어나 중동고, 서울대 미학과, 홍익대 대학원 미술사학과(석사), 성균관대 대학원 동양철학과(박사)를 졸업했다.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한 뒤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민족미술협의회 공동대표와 제1회 광주 비엔날레 커미셔너 등을 지냈다. 1985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과 대구에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공개강좌를 개설하고, ‘한국문화유산답사회’를 이끌었다. 영남대 교수 및 박물관장, 문화재청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정년퇴임 후 석좌교수로 있다.
저서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국내편 1~12, 일본편 1~5, 중국편 1~3), 『국토박물관 순례』(1·2), 평론집 『다시 현실과 전통의 지평에서』, 미술사 저술 『조선시대 화론 연구』 『화인열전』(1·2) 『국보순례』 『명작순례』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1~6) 『추사 김정희』 등이 있다. 제18회 만해문학상(2003) 등을 수상했다.

 

 

 

저자: 임진택

 

문화운동가이자 마당극 연출가이며, 창작판소리의 독보적 명창이다. 2010년 이후 새로운 창작판소리 열두 바탕을 만드는 작업을 시작해 〈백범 김구〉, 〈다산 정약용〉, 〈오월광주 윤상원가〉. 〈안중근〉, 〈전태일〉, 〈녹두장군 전봉준〉 등의 사설을 직접 쓰고 창작해 공연했다. 최근 〈애국가 논쟁의 기록과 진실〉을 펴내고, 현행 애국가의 대안으로서 〈아리랑 애국가〉를 제안한 바 있다.

출처:본문중에서

 

 

 

 

3. 목차

 

발간사/06


김지하,‘해방을 통해 생명으로’|이부영(자유언론실천재단 명예이사장)
책머리에/10
잊혀진 이름, 김지하|임진택(창작판소리 명창, 마당극 연출가)

1부 김지하 추모 학술 심포지엄 김지하의 문학·예술과 생명사상

기조 발제|시인 김지하가 이룬 문학적 성과와 유산|38
염무웅(문학평론가, 영남대학교 명예교수)

● 김지하의 문학·예술과 미학

1주제_생성과 역사, 그리고 생명의 문법|70
- 김지하의 초기 시세계와 시론
발제|임동확(시인, 한신대학교 교수) 토론|서승희(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2주제_김지하 후기시에 관한 한 생각|114
- 생명·흰 그늘·못난 시
발제|김사인(시인) 토론|이재복(한양대학교 교수)

3주제_김지하‘담시’의 형식 미학과 풍자성|168
발제|홍용희(문학평론가,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 토론|백현미(전남대학교 교수)

4주제_김지하의 민중문화예술운동|208
발제|정지창(평론가, 전 영남대학교 교수 토론|김봉준(화가, 오랜미래신화미술관장)

5주제_김지하의 생명미학과 악·가·무 천지굿론|250
발제|채희완(부산대학교 명예교수) 토론|이윤선(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6주제_정치와 미학의 어긋난 궤적 연결하기|320
김지하 미학 사상의 특이성에 대한
역사지리인지생태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발제|심광현(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토론|김수현(경상국립대학교 명예교수)

● 김지하의 그림과 글씨

특별 주제_ 붓끝에 실려 있는 모시는 마음|386
발제|유홍준(미술평론가, 명지대학교 석좌교수) 토론|홍성담(화가)


● 민주화운동과 김지하

특별 강연 ①_ 김지하 재판의 막전막후|424
김정남(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축사 _ 김지하에 대한 이해가 계속 이어지기를 희망합니다|433
미야타 마리에(중앙공론사 문예지『海』전 편집장 )

특별 강연 ②_ 김지하 구원운동의 의미와 일·한 시민연대|436
히라이 히사시(교도통신 객원논설위원)


● 김지하의 생명사상과 생명운동

1주제_김지하 생명사상의 뿌리 - 동학을 중심으로|476
발제|박맹수(원광대학교 명예교수) 토론|김용휘(대구대학교 교수)

2주제_김지하와 한국 기독교사상|510
발제|조현범(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토론|김선필(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선임연구원

3주제_21세기 생명위기에 대응할 김지하의 생명학|548
발제|이기상(한국외국어대학교 명예교수) 토론|심광섭(전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4주제_김지하의 생명사상과 생명운동의 전개|594
발제|주요섭(생명운동가) 토론|김소남(국사편찬위원회 편찬연구원)

종합토론_
좌장|정성헌(DMZ평화생명동산 이사장)
▶ 생명사상과 생명운동의 과제|640
김용우(한알마을 이사장)
▶ 죽임의 굿판은 걷어치워야 한다|644
유정길(불교환경연대 녹색불교연구소장)
▶ 핵(核) ‘죽임의 굿판’- 귀천(歸天)의 웃음|652
김영래(신시화백연구가)
▶ 율려와 생명문화운동|660
김영동(국악작곡가)
▶ 생명 위기에 대한 통감(痛感)없이 생명운동 없다|663
이병철(시인, 생명운동가)


2부 김지하가 남긴 글과 생각 - 생명의 길·개벽의 꿈

▶ 양심선언|676
▶ 나는 무죄이다|701
▶ 창조적 통일을 위하여 -‘로터스상’수상 연설|722
▶ 생명의 세계관 확립과 협동적 생존의 확장|729
▶ 개벽과 생명운동|816
▶ 깊이 잠든 이끼의 샘|880
▶ 생명평화선언|932
▶ 화엄개벽의 모심|978

● 김지하 시인의 삶 |1028
● 작품 목록|1035
● 필자 소개와 짧은 회고|1040

 

출처:본문중에서

 

 

 

 

4. 출판사서평

 

엮은이의 글 중에서

그는 횔덜린과 달리 정치투쟁의 일선에서 네 차례나 감옥을 경험하고
죽음의 위험을 통과한 뒤에야 영성과 생명이라는 결정적 화두에 이르렀다.
그 지난한 과정에는 오랜 시간의 가혹한 독방과 치열한 독서와
건곤일척의 사색이 있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염무웅 (문학평론가, 영남대학교 명예교수)

일본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오에 겐자부로 선생은 기회 있을 때마다 자신이
아니라 김지하 시인이 노벨문학상을 받았어야 했다고 술회했다.
분단 한국에서 조선의 문화적·이념적 전통을 잇고 새롭게 해석하면서
투쟁을 벌인 김지하야말로 인류 보편적 문화·예술을 대표한다고 보았다.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명예이사장)

김지하는 결국 흰 그늘이 서린 모란꽃을 화사한 채색화로 그리다
세상을 떠났다. 묵란으로 시작하여 묵매로, 그리고 달마도로,
또 수묵산수화와 채색 모란도로 화제를 옮기며 생애 후반,
붓을 놓지 않은 김지하는 실로 위대한 현대 문인화가였다.
유홍준( 미술평론가 명지대학교 석좌교수)

단언하건대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제반 상황들, 생명 경시·환경 파괴·
기후 위기·전염병 창궐·핵전쟁 위기를 보면 김지하의 예언은 맞았다.
이에 대한 대안과 처방을 김지하는 40년 전부터 이미‘타는 목마름으로’
갈구했고, 모색했고, 제안했고, 실험했고, 행동했고,
그리하여 기진할 때까지 절규했다.
임진택 (창작판소리 명창, 마당극 연출가)

 

출처: 김지하를 다시 본다출판사 개마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