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년 추천도서(24.3~/2024-12

12월의 추천도서 (4315) 어두운 시대에도 도덕은 진보한다

 

1. 책소개

 

 

 

 

「모든 위기는 위험과
더불어 사회를 개선할 기회도 품고 있다.」

현대 철학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는
세계적인 철학자 마르쿠스 가브리엘,
우리 삶을 위한 보편적 가치를 고찰하다

새로운 실재론을 추구하며, 오늘날 가장 중요한 현대 철학자로 불리는 마르쿠스 가브리엘이 이번에는 『어두운 시대에도 도덕은 진보한다』를 통해 〈새로운 도덕적 실재론(도덕적 신실재론)〉에 관해 탐구한다. 그에 따르면, 도덕은 실재하며 사실에 근거하고, 또 과학 기술 발전은 윤리에 의해 인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진리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근본적인 믿음뿐만 아니라 강력한 학제 간 협력이 필수 불가결하다.
자유 민주주의의 위기부터, 만연한 인종 차별, 전 세계적 기후 재앙, 고삐 풀린 디지털화, 그리고 포퓰리즘의 확산까지, 우리 사회 전반에 다양한 문제가 퍼져 있다. 혼란이 가속되는 시대 속에서 가브리엘은 희망을 밝히고 전한다. 모든 인간에게 적용되는 비가역적이고 보편적인 가치가 존재하며, 이를 우리 행동의 기초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로써 모두가 좋은 삶을 누릴 수 있다고 그는 강조한다. 우리는 도덕적 이유에서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마땅한지를 과거보다 더 많이 숙고해야만 눈앞에 닥친 커다란 난관들을 넘어설 수 있다. 보편적 가치가 위협받는 오늘, 이 책은 새로운 계몽을 위한 철학적 길라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새로운 도덕적 실재론이란 무엇인가


이 책은 새로운 도덕적 실재론의 개요를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도덕적 실재론은 객관적으로 존립하며 우리가 알아챌 수 있는 도덕적 가치가 존재한다는 관점이다. 그 주장의 세 기둥은 실재론, 인본주의, 보편주의다. 우리의 개인적, 집단적 견해로부터 독립적인 도덕적 사실들이 존재한다. 이 사실들은 객관적으로 존립한다. 마르쿠스 가브리엘은 이를 〈도덕적 실재론〉이라고 칭한다. 또 인본주의에 대해 이렇게 서술한다. 객관적으로 존립하는 도덕적 사실들은 본질적으로 우리에 의해 인식 가능하다. 즉, 정신 의존적이다. 그 사실들은 인간을 향해 있으며, 우리가 무엇을 해야 마땅한지, 해도 되는지, 혹은 반드시 막아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 도덕적 나침반이다. 한편 보편주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객관적으로 존립하는 도덕적 사실들은 인간이 존재했고 존재하고 존재할 모든 시대에 유효하다. 그 사실들은 문화, 정치적 견해, 종교, 성별, 혈통, 외모, 나이로부터 독립적이며 따라서 보편적이다.
도덕적 사실은 모든 인간을 향한 보편적 요구를 통보하고 우리의 행동을 평가할 기준을 정의한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 널리 퍼져 있는 오해와 달리, 도덕적 사실은 정당화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다만 그 사실의 윤곽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인식을 필요로 할 뿐이다. 도덕적 가치 역시 마찬가지다. 도덕적 가치는 주관적이지 않다. 바꿔 말해, 도덕적 가치는 사람들이 내린 평가에 근거를 두고 실존하지 않는다. 오히려 모든 장소와 시간에서 모든 인간에게 유효하다. 물론 당연하게도, 도덕적 가치에 관하여 오류를 범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으로부터 도덕적 가치가 실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귀결되지는 않는다.

21세기의 도덕적 진보는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


도덕적 진보란 우리가 무엇을 하거나 하지 말아야 마땅한지 더 잘 인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덕적 진보는 인식을 전제하며, 부분적으로 가려졌던 도덕적 사실을 우리가 들추어내는 것이 일반적인 도덕적 진보의 핵심이다. 우리가 속한 복잡한 상황은 체계적인 생각의 전환을 요구하지만 우리가 윤리적으로 옳은 판단을 내리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지 않는다. 윤리적 질문 앞에서 우리는 오류를 범할 수 있지만, 우리 인류는 수천 년에 걸쳐 꽤 많은 도덕적 앎을 축적했다. 왜냐하면 도덕적 사실은 결코 우리에게 완전히 은폐되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 30여 년 동안 과학 만능주의와 경제주의가 사회를 주도해 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세태를 맹렬히 비판하며 21세기의 새로운 계몽을 촉구한다. 그 계몽에 이르려면 자연 과학, 기술 과학, 정신과학, 사회 과학의 다양한 분과가 지닌 나름의 힘과 지식을 한 다발로 묶어 내고, 인간으로서 우리는 누구이며 누구이고자 하는가 하는 질문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어쩌면 우리 시대의 정치적 혼란이나 경제적 위기보다 더 큰 문제는 바로 이것이다. 인류가 도덕적 나침반을 상실한 채,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 더는 알지 못하게 되는 것 말이다. 하지만 절망적인 비관주의에 빠질 필요가 없다. 인간은 여전히 도덕적 가치와 진보를 향해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가브리엘은, 우리에게 도덕적 진보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확신시켜 준다. 도덕적 진보가 무엇인지, 그것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이를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빼어난 논증과 통찰을 통해, 우리는 어두운 시대에도 여전히 도덕적 진보를 추구하는 것이 인류의 중요한 과제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 마르쿠스 가브리엘 (Markus Gabriel)

 

21세기 현대 철학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는 세계적인 철학자. 1980년 독일 라인란트팔츠주의 소도시 진치히에서 태어난 그는 2009년 독일 본 대학교 철학과 석좌 교수에 올라 19세기 셸링 이후 독일 최연소 철학 교수라는 타이틀을 얻으며 주목받았다. 현재 본 대학교에서 인식론과 근현대 철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동 대학교 국제 철학 센터와 과학 및 사상 센터 소장을 겸임하고 있다. 미국의 뉴욕 대학교와 버클리 대학교, 프랑스의 파리1 대학교, 일본의 도쿄 대학교 등에서 객원 교수로도 활동했다. 2020년 뉴욕의 사회 연구 뉴 스쿨NSSR 내 철학 및 새로운 인문학 연구소IPNH 설립에 기여했으며, 2021년부터는 함부르크의 뉴 인스티튜트The New Institute에서 실용적인 철학에 관한 연구를 이끌고 있다.
마르쿠스 가브리엘은 우리 삶을 위한 보편적 가치를 다룬 『어두운 시대에도 도덕은 진보한다』 외에도 『왜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가』, 『나는 뇌가 아니다』, 『생각이란 무엇인가』로 이어지는 〈21세기를 위한 새로운 인본주의〉 3부작, 『허구의 철학』, 『예술의 힘』, 『초예 측, 부의 미래』(공저), 『신화, 광기 그리고 웃음』(공저) 등 다수의 저서를 발표했다.

 

출처:본문중에서

 

 

 

 

3. 목차

 

머리말

1장 가치들은 무엇이며 왜 보편적인가
좋음, 나쁨, 중립: 도덕적 기본 규칙들 | 도덕적 사실 | 표현의 자유: 민주주의는 얼마나 관용적일까? | 다수보다 도덕이 먼저다 | 문화 상대주의: 강자가 옳다 | 폴 보고시언과 탈레반 | 유대교-기독교적 가치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슬람교는 명백히 독일에 속한다 | 북한과 나치 타임머신 | 가치 다원주의와 가치 허무주의 | 니체의 섬뜩한 혼란

2장 왜 도덕적 사실은 존재하지만 윤리적 딜레마는 존재하지 않는가
보편주의는 유럽 중심주의가 아니다 | 아동에게 불이익을 주는 나이 차별과 기타 일상의 도덕적 결함들 | 도덕적 갈등 | 오류 가능성, 허구적 메시아, 터무니없는 탈근대적 임의성 | 도덕적 느낌들 | 의사, 환자, 인도 경찰관 | 사회적 접합제로서의 정언 명령 | 〈H?〉: 자기모순을 범하지 마라! | 도덕적으로 자명한 것과 윤리학의 서술 문제 | 독일 총리 메르켈이 지도자가 아닌 이유 | 최후의 심판: 우리는 도덕적 사실들을 어떻게 알아챌 수 있을까? | 목적들의 나라에서 | 아동 구타는 선한 행위였던 적이 없으며 1880년에도 마찬가지다

3장 사회적 정체성: 인종주의, 외국인 혐오, 여성 혐오가 악한 이유
기품과 전형: 모든 자원은 빠듯하다 | 비인간화의 베일을 걷어 내기: 정체성 정치에서 차이 정치로 | 코로나: 실재의 반격 | 과거엔 달랐던 튀링겐: 인종주의를 반박하는 예나 | 진실의 가치 | 전형, 브렉시트, 독일 민족주의 | 사람들이 믿는 공동체의 작용력 | 포퓰리즘 사회 | 좌파 정체성 정치의 모순들 | 누구나 타인이다: 정체성 정치에서 차이 정치로(그리고 그 너머로) | 차이 없음 정치: 색맹을 향하여

4장 21세기의 도덕적 진보
노예제와 자라친 | (소위) 다양한 인간상은 노예제를 비롯해서 아무것도 정당화하지 못한다 | 코로나 시대에 도덕의 진보와 퇴보 | 경제주의의 한계 | 생물학적 보편주의와 바이러스 대유행 | 형이상학적 판데미를 위하여 | 도덕≠이타주의 | 인간: 우리는 누구이며 누구이고자 하는가 | 모두를 위한 윤리학

맺음말


옮긴이의 말
개념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출처:본문중에서

 

 

 

 

4. 책속으로

 

우리는 오로지 도덕적 진보를 통해서만 민족주의의 강화에 따른 새로운 전쟁의 위험과 수억 명의 인구를 위협하는 생태 위기에 맞설 수 있다. 인간이 자신의 도덕적 능력을 자각하는 것, 그리고 민족 국가의 이기주의를 넘어선 지구적 협력만이 세계사적 구렁텅이를 향해 꾸준히 가속하는 움직임을 멈출 수 있음을 인정하기 시작하는 것은 시대의 명령이다. - 26면

우리가 도덕적 질문 앞에서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것으로부터 도덕적 진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도출되지는 않는다. - 50면

우리 인간은 해야 마땅한 행위를 주로 한다. 그러면서 우리는 도덕과 무관한 새로운 사실을 거듭 발견하고 도덕적으로 유의미한 새로운 사실(예컨대 인공 지능과 오늘날 우리의 생활 세계에 속한 디지털 제품들)을 만들어 낸다. 그리하여 새로운 윤리적 질문들이 제기되고, 이로써 다시금 도덕적 진보의 가능성이 열린다. 우리는 본성상 단지 이기적이며 심지어 폭력적인 충동을 따를 뿐이라는 의미에서 근본적으로 악하지 않다. 인간은 본성상 선하지도 않고 본성상 악하지도 않다. 인간은 본성상 자유롭다. 그리고 도덕과 관련해서 자유는 우리가 옳은 행위나 그른 행위를 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139~140면

새로운 도덕적 실재론은 도덕적 진술이, 느낄 줄 알고 생각하는 생물들이 연루된 실재하는 사정(事情)을 다룬다는 것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 실재하는 사정은 결코 최대로 객관적이거나 최대로 주관적이지 않다. 오히려 그 사정은 이 양극단 사이 어딘가에 위치한다.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는지는 우리 행위 상황의 구체적 형편에 달려 있다. - 196면

자유로운 정신적 생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윤리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우주 안에 생명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면, 가치들을 어떤 역할도 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가치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바로 지금 우리는 자유로운 정신적 생물이 없는 우주 안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가치관과 가치에서 관건은 인간으로서의 우리와 기타 생물들이기 때문에, 가치들은 항상 우리와도 관련 맺으며 그런 점에서 자연 상수와 구별된다. 하지만 이로부터 가치들은 사실이 아니라는 결론은 결코 나오지 않는다. 다만, 가치들은 자연 과학적으로 밝혀지는 한낱 자연 사실이 아니라는 결론이 나올 따름이다. - 247면

도덕적 사실은 자연적 사실이 아니다. 또한 도덕적 사실은 반자연적이거나 비자연적이지 않다. 도덕적 사실은 행위 선택지를 선, 중립, 악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문장으로 표현된다. 이 분류는 관찰자의 개인적 관점에 좌우되지 않는다. 이 분류는 취향의 문제가 아니며, 모든 각각의 유의미한 관점에서 볼 때 객관적이다. - 266~267면

도덕적으로 성공적인 인간 사회의 목표는, 우리 인간들이 민족, 문화, 집단으로 분열하여 마치 몸과 몸속 이물질이 맞서듯이 서로 맞서는 결과를 자아내지 않는,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환상들을 산출하는 것이다. 21세기의 도덕적 진보를 위한 관건은, 사회적 정체성을 덮어씌우는 관행은 위험한(왜냐하면 늘 암묵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폭력적이기 때문에) 전형들에 기초를 두며 그것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강화된다는 점을 깨닫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는 고유의 미디어 주목(注目) 경제 때문에 사람들을 각자의 본성과 상관없는 집단들로 분류하는 정체성 정치를 생산한다. 본성에 따르면 우리는 실제로 모두 같다. 우리는 동일한 종의 존속 및 환경 적응 과정들에 종속되어 있으니까 말이다. 그 과정들은 우리를 인간 동물Menschentier로, 곧 특정한 생물학적 종인 동물로 만든다. - 323~324면

우리는 제각각 다른 지식수준, 관점, 경험, 느낌, 관계를 가지고 사회의 역동적 구조 안에서 제각각 다른 위치를 차지하면서 삶의 의미를 조금씩 다르게 규정한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각자는 다른 모든 각자와 다르다. 그러나 바로 이 사정이 우리 모두를 결합하는 인간학적 상수다. 왜냐하면 우리 모두가 자기를 제각각 다르게 규정할 때, 우리는 정확히 동일한 능력을, 곧 자기 규정 능력 ─ 즉, 정신 ─ 을 발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타인들과 아주 많은 공통점을 가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타인들과 다를 수 없을 것이다. 우리의 보편적 인간성의 핵심, 곧 인간임은 생물학적 보편성을 훨씬 넘어선다. - 373~374면

도덕적 사실을 열역학의 기법이나 기타 자연 과학적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도덕적 사실은 역사적으로 인식된다. 즉, 행위 상황에 놓인 사람들에 의해 인식된다. 무언가가 자연 과학적으로 탐구될 수 없다는 것으로부터 그것이 실존하지 않는다는 결론은 당연히 도출되지 않는다. 모든 인식의 진보가 물리적 사실의 발견인 것은 아니다. 당장 수학의 진보도 있고, 다름 아니라 도덕의 진보도 있지 않은가. 어두운 시대에는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가 명백히 드러난다. 하지만 그때는 너무 늦은 경우가 많다. 그럴 경우 도덕의 진보는 힘겹게 쟁취되고 감수된다. - 407면

행동 경제학이 비합리적이라고 평가하는 측면은 실제로는 진화를 통해 형성된 우리의 합리성이다. 그 합리성은 우리가 사회적 생물이기 때문에 형성되었다. 그리고 그 합리성은 우리의 수준 높은 도덕성의 원천이다. 우리의 합리성은 경제학적 이익과 부가 가치를 추구하는 경제적 계산 능력이 아니다. 인간의 이성을 그런 계산 능력으로 간주하는 자기 이해는 윤리와 논리를 도외시하며 따라서 충분히 예상할 만하게도 비윤리적이며 비논리적인(곧 비정합적인) 귀결들을 낳는다. - 439면

우리에게는 시스템 수준에서 지속 가능한 도덕적 경제 질서가 필요하다. 그 질서 안에서 창출되는 경제적 부가 가치는 모든 인간을 위한 도덕적 진보라는 이상과 체계적으로 결부된다. 그 질서는 무한 성장을 위해 설계되지 않은 도덕적 인간적 시장 경제다. - 489면

 

출처:본문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