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1825 1기(13.3~18.2)

4월의 추천도서 (40) 거대한 체스판 - 브레진스키

 




 

 

◎ 목차

 

001. [새로운 형태의 헤게모니]....(19)
002. 세계 일등적 지위를 향한 짧은 도정....(19)
003. 최초의 세계 강국....(27)
004. 미국 중심적 세계 체제....(44)
005. [유라시아의 체스판]....(51)
006. 지정학과 지정 전략....(58)
007. 지정 전략적 게임 참가자와 지정학적 추축....(62)
008. 비판적 선택과 잠재적 도전....(73)
009. [민주적 교두보]....(83)
010. 영광과 구원....(87)
011. 미국의 중심 목표....(100)
012. 유럽의 역사적 시간표....(112)
013. [블랙홀]....(121)
014. 러시아가 처한 새로운 지정학적 상황....(121)
015. 지정 전략의 요술경....(131)
016. 유일한 대안의 딜레마....(158)
017. [유라시아의 발칸]....(165)
018. 인종적 가마솥....(167)
019. 중층적 경쟁....(179)
020. 지배도 아니고 배제도 아닌....(196)
021. [극동의 닻]....(199)
022. 중국 : 세계적이 아니라 지역적인....(207)
023. 일본 : 지역적이 아니라 국제적인....(225)
024. 미국의 지정 전략적 적응....(238)
025. [결론]....(249)
026. 유라시아에 대한 지정 전략....(253)
027. 범유라시아 안보 체제....(266)
028. 마지막 세계 초강대국을 넘어서....(267)

 

 

◎ 본문 중에서....

 

진정한 한일 화해는 어떠한 형태의 한국 통일 위해서도 도움이 되는 더욱 안정적인 지역 구도의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한국 통일이 수반하는 다양한 국제적 복잡성은 한국과 일본의 진정한 화해를 통해 완화될 수 잇을 것이며, 두 나라 사이의 협력적인 정치 관계를 증대시킬 것이다. 미국은 그와 같은 화해를 촉진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는 독불 협력에서 밟았던 단계들, 이어서는 독일과 폴란드 사이에서 밟았던 단계들이 이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포괄직이고 지역적으로 안정적인 한일 동반관계는 역으로 극동 지역에서 미국 세력의 계속적 임재를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 본문 중에서

 

이 책을 읽으며 다시 한번 느끼는 사실은 거인의 어깨 위에서 보는 청량함에 중독되어 그 그늘에 가려 있는 우리 자신의 문제를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이런 의미에서 옮긴이는 브레진스키가 말하는 유라시아의 동쪽 귀퉁에서 벌어졌던 1980년대 반미 운동의 연장선에서 이 책이 읽히고 토론되기를 기대한다. --- 본문 중에서 

 

유라시아는 일등적 지위를 향한 미국의 싸움이 계속되는 체스판이다. --- 본문 중에서

 

최근의 국제 정세로 볼대, 유라시아의 지도 위에서 적어도 5개의 주요한 지정 적략적 게임 참가자와 지정학적 추축을 변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프랑스, 독일, 러시아, 중국, 인도가 중요하고 역동적인 게임 참가자인 반면 영국, 일본, 인도네시아는 비록 중요한 국가이기는 하지만 게임 참가자로서의 자격을 갖추고 있지는 못하다.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젠, 남한, 터키, 이란 등은 매우 중요한 지정학적 추축이다. --- 본문 중에서

 

요컨대 미국은 네 가지 결정적 영역에서 최고 강국으로 우뚝 서있다. 군사적으로 미국은 경쟁 상대 없는 세계적 힘을 지니고 있다. 경제적으로 미국은 세계 성장의 기관차이다. 비록 몇몇 측면에서 독일과 일본의 도전을 받고 있기는 하지만, 독일과 일본은 경제적 측면 외에서는 장점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 기술적으로 미국은 첨단 분야의 기술 혁신에서 압도적인 주도권을 보유하고 있다. 문화적으로 미국은 약간의 투박성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젊은이에게 경쟁 상대 없는 호소력을 지니고 있다. --- 본문 중에서

 

미국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류의 근본적인 이해 관계와 일치하는 진정으로 협력적인 지구 공동체를 만든다고 하는 것과 같이 선의와 비전이 넘치는 것이여야만 한다. 그러나 그러기에 앞서 유라시아의 특정 국가가 유라시아를 지배하고, 나아가 미국에 도전하는 것을 막는 것이 긴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유라시아에 대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미국의 지정학적 전략을 도출해 내는 것이 이 책의 목표이다. --- 본문 중에서